두바이에서는 이렇게 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두바이에서 혹시 장기 체류(3개월 이상)를 원하는 분들을 위해서 두바이 비자 종류와 비자를 만드는 방법, 비용까지 하나하나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두바이는 UAE(United Arab Emirates)의 하나의 토후국 입니다. 아랍 에미리트 연합이라는 뜻이고, 그 안의 별도의 하나의 왕국입니다.
그러다 보니, 사실상 두바이와 다른 왕국과의 정책이나 법적적용 등이 조금씩 다른 부분들이 있어요. 사용하는 교통카드도 다르고요.
그래서 저희는 처음에 두바이에 비자를 받으면, 다른 곳으로 못가나? 다른 곳도 비자를 받아야 하나? 하는 생각도 잠시 했었어요.
그런데, 비자를 받으면서 알게 된 것이 있었어요.
비자를 받는다는 것은 아랍 에미리트의 ID카드를 지급받고, 두바이 및 아랍 에미리트 인구로 포함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자. 그럼 비자 종류부터 말씀드리도록 할게요.
우리가 무비자 90일로 두바이와 아랍 에미리트에 체류할 수 있는데, 이것은 무비자라기보다는 사실상 협의된 여행비자인 거죠.
그런데, 무비자 기간이 지나고도 유예기간인 10일 더 지나면, 이곳에서 체류하는 기간 동안 하루에 약 한 화로 40,000원의 벌금을 내야 합니다.
이것은 벌금만 내면 되는 문제가 아니라, 그렇게 벌금을 내고 나서 두바이를 떠날 때는 출국비자라는 것을 발급받고 출국해야 하며, 출국 후에는 일정 기간 동안은 다시 두바이 및 아랍 에미리트로 입국이 금지되게 되는데, 이 일정기간 안에 입국을 원할 경우에 다시 간단하게 비자를 발급받는 것이 여행비자가 있더라고요. 이때에는 여행비자 기간이 30일로 한정되는 경우가 있고, 단기로 발급되는 경우가 있는 듯합니다.
주변에 계신 분이 출국 날짜를 잘 못 오해하고 벌어졌던 해프닝이었는데, 저희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요지는 그렇게 여행 비자도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은 거죠.
우선 한국인이라면 아랍 에미리트를 90일 동안 자유여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비자 이야기를 나눌 건데요.
갑자기 무슨 비자냐? 이러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여행 오신 분들이 두바이가 좋아서 장기 체류를 원하거나, 직장, 사업 등을 원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통장개설과 관련하여 가능한지를 물어보는 경우가 많이 있었고, 통신사 이용(휴대폰 관련)과 관련하여 문의를 하거나, 기타 병원이용 등을 문의하는 등의 여러 가지를 물어보는 분들이 있었어요.
그래서 그와 관련하여 설명을 드리려고 비자 이야기를 하게 된 것입니다.
은행 계좌는 ID카드 없이는 절대 만들 수 없습니다.
통신사는 여권으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지속적으로 갱신을 해야 합니다.
병원 이용 시 높은 비용이 듭니다.
비자의 종류 : 노동 비자, 프리랜서 사업 비자, 사업 비자, 골든 비자로 생각하시면 될 듯한데요.
그 외에도 특별하게 발행되는 비자들도 있더라고요.
사실 저희는 거기까지는 잘 모릅니다. 이해 부탁드립니다.
노동 비자 : 이것은 말 그대로 두바이에 취업을 하게 되면 발급되는 비자입니다. 대부분의 비자 기간은 2년이며, 그 당 회사에서 발급을 해 주지만, 비용은 보통 개인이 부담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취업 중에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할 경우를 생각해서 대부분은 개인에게 비용을 부담하게 하고 있어요. 한국 주재원으로 오신 분들은 잘 모름.
이때에 개인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은 한 화 약 150만 원 정도인데, 2년 후에 갱신하게 되면 비슷한 비용이 추가로 발생한다고 보시면 될 거예요.
프리랜서 사업 비자 : 이것은 헤어 디자이너, 개인 기술자들 등이 발급받게 되는 사업자와 사업 비자인데요. 프리랜서 사업자 발급 비용과 비자 비용을 합쳐서 대략 한화 450만 원 정도인데요. 결국 300만 원 정도가 프리랜서 사업자 발급비용이고, 이것은 1년마다 거의 같은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비자는 2년마다 같은 비용을 지불하는 거죠. 각각의 갱신이 필요한 이유인데요. 저희는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외국인을 무조건 한국에 들어와서 일을 못하게 할 것이 아니라, 이런 정책을 만들어서 실제로 일을 원하는 사람들만 한국에 받게 된다면, 서로에게 좋은 기회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일반 사업 비자 : 이것은 인베스트 비자라고도 하더라고요. ID카드에 INVESTMENT라고 적혀 있어요. 이것은 본인이 원하는 사업에 따라서 사업자 설립 비용이 다 다릅니다. 최소 550만 원부터 4,000만 원이 넘는 경우도 있고,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사업자 비용에 대해서는 따로 소개해 드릴 기회가 있으면, 소개 해 드리도록 할게요. 거기에 비자 비용은 대략 비슷한 비용으로 150만 원이 발생한다는 점을 알아주시길 바랄게요.
회사의 갱신 조건과 비자의 갱신 조건은 대부분 비슷합니다.
골든 비자 : 이것은 일종의 영주권과 비슷한 거라네요. 이 비자를 취득하는 조건은 200만 디르함(AED) 약 8억 원 이상되는 투자(부동산 구매 포함)를 할 경우에 받게 되는 비자를 말합니다. 이 비자 기간은 10년으로 되어 있지만, 여권을 갱신하면 비자도 함께 갱신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는 있습니다. 하지만, 10년짜리 비자를 발급받는데 비용은 비슷하게 150만 원 정도 발생하게 된다는 점과 이것의 갱신은 10년마다 한다는 점이 비자 발급을 받는 입장에서는 좋은 느낌이긴 하네요.
이렇게 비자와 비자 발급비용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를 했네요.
한 가지 팁을 드리자면, 혹시 두바이에서 부동산을 구매하게 되면, 수익성이 있냐는 질문을 하던데요. 투자가치나 수익성에 대해서는 현재 두바이는 350만명 정도의 인구가 살고 있어요. 그리고 2040년까지 600만 명의 인구 증가를 목표로 도시 건설을 이어가고 있어요. 그러다보니 부동산의 가치는 당연히 올라가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한가지 차이점은 두바이는 내부 인테리어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 거래 시에 내부 인테리어 비용을 책정하여 거래하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물론 위치도 중요하고요.
그것보다 더 중요한 수익성인데요. 주택을 구매하고, 대부분 약 3년 ~4년 정도 임대를 하면 구매비용을 회수할 수 있을 정도로 임대수익이 높은 편입니다.
임대의 경우에 가구가 모두 포함된 임대가 있고, 주택만 임대하는 경우도 있어요.
그에 따라서 그 수익률은 바뀌겠죠?
그리고 한 달 단위나 일일 단위로 임대하는 경우와 년 단위로 임대하는 경우도 그 임대 수익이 달라지게 됩니다.
앞으로 15년간은 임대 수익이나 부동산 투자에 대한 가치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거라고 보는 전망입니다.
이건 저희 생각이 아니라, 두바이에서 많은 투자자들이 하는 말이에요.
오늘은 여기까지....
감사합니다.
'해외 모험 기행 [아랍에미리트 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바이에서 소형 크루즈를 즐기세요. (2) | 2025.02.16 |
---|---|
두바이 [한 달 살기] 두바이에도 '로또'가 있을까? (3) | 2025.02.15 |
두바이 [한 달 살기] 서울 보다 저렴할까? (0) | 2025.02.15 |
두바이 [크릭 하바르]는 석양과 야경 촬영지 입니다. (4) | 2025.02.14 |
두바이 [한 달 살기] 숙소 편 이어서.... (5) | 2025.02.14 |